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ISTI DATA INSIGHT 제41호 : 사회문제해결형 과학기술의 8대 학술활동 유형 : 새로운 데이터기반 분석모형

권혁미 32,590 2024-11-26
권호: 제41호
저자: 고병열

• 이 연구는 과학기술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의 역할을 분석하고, 현황을 이해하는 새로운 데이터기반 접근 모형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둔다.

• Chapter 1에서는 '사악한 문제(Wicked Problem)' 개념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이 다루고 있는 현대 사회문제의 특성을 학술문헌 분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원인이 복잡해지고, 다양한 이해관계에 따른 저항성이 존재하는 Wicked Problem은 관련 연구활동이 2010년 이후 급증하고 있다. 최근에는 공학, R&D, 컴퓨터 과학 등의 분야에서도 동 개념이 활용되며, 복원과 적응, 통합적 접근, 참여와 협력을 중심으로 한 정책적 대응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과학기술은 오랜 역사를 거치면서 사회문제에 대처하고 있으며, 특히,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 Chapter 2에서는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에 대한 새로운 분석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연구분야 중심 분석을 넘어, 사회문제의 유발 요인과 대응 전략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새로운 프레임워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거대언어모형에 기반한 자동분류 기법을 활용해 사회문제해결형 과학기술의 유형을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 Chapter 3에서는 지진, 미세플라스틱, 학교폭력 등 3대 사회문제에 대한 과학기술의 대응 유형을 분석하였다. 지진은 피해완화형-기술적 솔루션 제시 활동이 중심이 되었고, 미세플라스틱은 문제 인식형-증거제시형 학술활동이 두드러졌으며, 학교폭력은 원인분석형-증거제시형 학술활동을 중심으로 한 접근이 이루어졌다. 또한, 유사 사회문제 간의 연계분석을 통해 복합적 대응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예로서, 플라스틱 폐기물 분야의 솔루션 제시형 학술활동이 미세플라스틱 문제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분석하였다.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담당자박여은,윤세연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