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ISTI DATA INSIGHT 제10호 : 딥러닝 기반 글로벌 특허기술 장기전략 예측

미래기술분석센터 권혁미 18,541 2022-02-04
권호: 제10호
저자: 이재민, 고병열, 윤장혁

• 특허는 세계 각국의 최신 기술에 대한 정보원이며, 이를 체계적으로 활용하여 국가, 기업, 혹은 기술분야 관점에서 최근 기술개발 현황을 비교분석하고, 정책수립을 위한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특히,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된 특허는 높은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할 가능성이 큰 특허로 판단할 수 있다.

• 본 보고서에서는 특허의 28개 지표와 독점권 유지기간과의 관계를 학습하여 딥러닝 기반의 장기유지 가능성 예측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2019년도 상반기 미국특허청 등록특허들에 대한 유지수명예측을 실시하였다. 2019년도 미국등록특허들 중 최대만료수명(20년)까지 유지될 가능성이 높은 상위 10% 등록특허 16,776건을 선별하였고, 특허수명과 비즈니스 가치 창출 간의 상관관계에 착안하여 이들을 장기적으로 비즈니스 가치 창출의 가능성이 높은 “장기전략특허”로 정의하였다

• 이와 같이 도출된 2019년도 상반기 기준 장기전략특허들을 WIPO 35대 기술분야로 분류한 결과 전세계적으로 통신기술과 의료기술분야에 장기전략이 치중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IPC 분류분포로 보다 세밀하게 장기전략특허를 분석한 결과, 사물인터넷, 빅데이터와 결합된 ICT-의료 융합기술의 미래의 핵심 비즈니스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세부적으로는 로봇의료, 정밀진단, 분산형의료통신, 의료이미징 등이 장기전략특허 기술로 관찰되었다.

• 또한 본고에서는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장기전략특허의 분포를 분석하여 주요 ICT 기업인 아이비엠(IBM), 애플(Apple), 구글(Google),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추구하는 차별화된 비즈니스 전략을 분석하였다. 또한 상대적으로 규모는 작지만 장기전략특허 비중이 높은 기업 나이키(Nike), 코비디엔(Covidien), 파이오니어(Pioneer Hi-Bred International)의 특색을 관찰하였다.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담당자박여은,윤세연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