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이 거부 되었습니다.
Permission denied please try again
Start Page
권호: 제9호
저자: 손은수, 이창환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고 있는 현 인류에게 인공지능은 타 첨단기술 및 산업과의 지능형 융합으로 새로운 디지털경제사회를 주도하는 혁명의 아이콘이자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핵심기술들의 총아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미국 스탠포드대학 Andrew Ng 교수의 말처럼 인공지능은 100년 전에 발명된 전기와 같은 새로운 에너지원이며, 인공지능으로 변화되지 않는 산업은 이제 상상하기조차 힘들게 되었다.
• 인공지능의 국가역량은 과학기술경쟁력, 안전보장, 경제력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2016년부터 미국, 중국, 영국, 독일, 일본 등 주요국들이 국가적 차원의 인공지능 전략계획을 앞다퉈 발표하고, 이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가 되기 위한 국가간 주도권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는 이유다.
• 본고는 60년이라는 짧지 않은 인공지능의 역사와 부침, 활용성과 파급력에 주목해 지난 20년간 발표된 인공지능 관련 논문 177만 여건을 분석한 결과이다. 인공지능을 기계학습, 컴퓨터비전, 지식표현 및 추론, 음성처리, 지능형 에이전트, 자연어처리의 6대 분야로 나눠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연구개발 동향을 살펴보았으며, 그 가운데 우리나라 인공지능의 연구개발 현황과 수준을 분석하였다.
• 본고는 인공지능이 가져온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에 선제적이고도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인공지능 연구개발에 대한 글로벌 동향과 우리나라의 수준을 논문 빅데이터를 통해 거시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분석을 통해 글로벌 인공지능 기술열강들의 연구개발 트렌드 속에서 우리의 위치와 장단점을 알고, 전략적인 정책과 투자, 고급인력의 양성, 산·학·연·관 협력은 물론 국제협력을 통한 선진 인공지능 연구개발에 매진해야 할 때임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