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ISTI, '2025 미래연구정보포럼' 개최… AI 에이전트 시대 청사진 제시

박준수 2025-11-26 View. 1,229 https://frif2025.kr/

KISTI, '2025 미래연구정보포럼' 개최…
AI 에이전트 시대 청사진 제시


- 스스로 판단하고 실행하는 AI 에이전트, 과학기술 혁신의 새 파트너로

- 기술 트렌드부터 법·제도까지… AI 선도국 도약 위한 심층 토론장 마련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이식, 이하 KISTI)은 12월 3일(수) 서울 과학기술컨벤션센터 국제회의실에서 '2025 미래연구정보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 올해로 14회를 맞는 이번 포럼은 '과학기술 혁신 파트너, AI 에이전트'를 주제로, 글로벌 과학기술·산업의 첨단 패러다임을 심층 논의하고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 AI 에이전트란 인간의 개입을 최소화한 채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데이터를 분석해 판단하며, 실행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는 지능형 시스템이다. 마치 비서나 파트너처럼 사용자를 돕는 역할을 한다.


○ 포럼을 주최하는 KISTI는 AI 고도화의 핵심 기반인 슈퍼컴퓨터·양자컴퓨터 등 첨단 컴퓨팅 기술과 AI 학습에 필수적인 데이터 연구를 선도해온 기관이다.


□ 포럼은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4개 트랙에서 총 12개 강연이 이어진다. 트랙별로 연사와 참석자가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는 심층 소통의 장도 마련된다. AI 에이전트 선도국 도약을 위한 과학기술 과제부터 비즈니스 혁신, 윤리와 안전, 법·제도 정비까지 전방위적 의제가 다뤄진다.


○ 기조강연은 한화생명 김준석 AI실장이 맡는다. 국내 최고의 AI 전문가인 김 실장은 '금융 비즈니스 혁신을 통해 보는 AI 에이전트의 역할과 미래'를 주제로, 복잡한 비즈니스 환경에서 AI 에이전트가 어떻게 혁신을 일으키는지 사례와 함께 제시한다.


○ 트랙 1(AI 에이전트 트렌드)에서는 AI 에이전트 기술의 현주소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미래 발전 가능성을 조망한다.


○ 트랙 2(AI 에이전트 × 큐레이션)에서는 AI 에이전트를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게 구축·운영하기 위한 핵심 기술을 다룬다.


○ 트랙 3(AI 에이전트 × 플랫폼)에서는 AI 에이전트 도입과 활용을 위한 법적·기술적·보안적 과제를 논의한다.


○ 트랙 4(AI 에이전트 × 서비스)에서는 AI 에이전트가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며 제공하는 경험·서비스의 설계 방향을 제시한다.


□ 포럼에서는 '2025 DATA·AI 분석 경진대회' 시상식도 진행된다. KISTI가 매년 개최하는 DATA·AI 분석 경진대회는 AI와 데이터를 활용해 국가·사회의 도전적 문제를 발굴하고 그 솔루션을 찾는 공모전이다. 고령화, 재난·재해 등 사회 난제를 해결할 실질적인 AI 모델 확보를 목표로 한다.


□ KISTI 이식 원장은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며 실행하는 맞춤형 AI 에이전트 기술이 우리 앞에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며, “이번 포럼을 통해 AI 에이전트 관련 핵심 의제를 집중 논의하고, 'AI 3대 강국' 실현을 앞당기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2025 미래연구정보포럼 포스터(본문참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AI)25 미래연구정보포럼

Future Research Information Forum

과학기술 혁신 파트너, AI 에이전트

일시 : 2025년 12월 3일(수) 09:30~17:30 / 장소 : 한국과학기술회관 국제회의실

2025 미래연구정보포럼 프로그램 일정을 설명하는 표
시간 프로그램
09:30~10:00 등록
10:00~10:30 개회식
  • 개회사(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이식 원장)
  • 환영사(국가과학기술연구회 김영식 이사장)
  • 축사(국회도서관 조정권 정보관리국장)
10:30~11:10 기조강연 - 금융 비즈니스 혁신을 통해 보는 AI 에이전트의 역할과 미래 (한화생명 김준석 AI실장)
11:10~11:30 DATA·AI 분석경진대회 시상식
11:30~13:00 점심 식사
13:00~14:45 Track 1 - AI 에이전트 트렌드
  • LLM 지식 편집 개념 및 연구동향(김학수 교수/건국대학교)
  • 인간 관점의 AI 에이전트 도입 방향 및 전략(정휘웅 소장/42MARU)
  • AI 에이전트 기반 데이터 활용 사례(정성재 수석매니저/(주)엔코아)
Track 2 - AI 에이전트 X 큐레이션
  • AI 에이전트 개발 및 활용을 위한 법적, 정책적 이슈와 제언(정진근 교수/강원대학교)
  • 지식 그래프와 인공지능(이기헌 교수/연세대학교)
  • 멀티에이전트 최근 동향(이우진 교수/동국대학교)
14:45~15:15 휴식 및 네트워킹
15:15~17:05 Track 3 - AI 에이전트 X 플랫폼
  • 인공지능 학습용데이터의 활용과 보호에 관한 법적 과제(정원중 팀장/한국법제연구원)
  • 기업내 AI도입을 위한 팔란티어의 접근 방식의 적용(빅데이터닥터/빅데이터닥터)
  • 하이브리드 AI 에이전트 및 보안 정책 구현(신정규 대표/(주)래블업)
Track 4 - AI 에이전트 X 서비스
  • 지능형 의사결정 및 서비스 구현을 위한 대규모 언어모델의 심층적 맥락 이해(한경식 교수/한양대학교)
  • 최근 Agentic AI 동향 및 AI Agent 빌더 활용 방안(이영복 대표이사/(주)제네시스랩)
  • AI 에이전트 시대를 위한 UX 디자인(오창훈 교수/연세대학교)
17:00~17:30 폐회
  • 포럼 웹사이트 : frif2025.kr
  • 문의처 KISTI : T. 02-3299-6083 / E. ginu@kisti.re.kr
  • 운영사무국 : M. 010-9425-7301 / E. hongcha.giuck@gmail.com

사전등록 웹사이트에 접속하시려면 주소창에 frif2025.kr를 입력하시거나 우측 QR코드를 찍어주세요(QR 코드)

주최/주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후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국회도서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OPEN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담당부서대외협력실
  • 담당자박준수
  • 연락처042-869-0864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