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ISTI, ‘국가별 양자통신 정책 동향 분석 및 시사점’에 대한 이슈브리프 발간

박성욱 2025-01-06 View. 87,746

KISTI, ‘국가별 양자통신 정책 동향 분석 및 시사점’에 대한 이슈브리프 발간  

- 정보 초격차 시대 양자통신으로 과학기술 연구의 미래를 선도하다 -


KISTI ISSUE BRIEF 제77호 국가별 양자통신 정책 동향 분석 및 시사점

과학기술인프라, 데이터로 세상을 바꾸다

한구과학기술정보연구원

KISTI ISSUE BRIEF

『KISTI ISSUE BRIEF』는 국가 과학기술 정보 분야 대표기관인 KISTI가 최근의 과학기술 정보 관련 현안·이슈를 발굴·분석하여 시사점 및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발간합니다.

이원혁·이찬균·손일권·심규석·임현교·김주봉

국가별 양자통신 정책 동향 분석 및 시사점

제77호 2024.12.31.

  • 목차
    • 1. 양자통신의 중요성과 글로벌 동향
      • 양자통신의 중요성
      • 국가별 양자통신 정책 동향
      • 세계 주요국 중장기 로드맵
    • 2. 국가별 양자통신 정책의 전략 분석
      • 미국: 국가양자정보과학비전
      • 유럽연합(EU): 양자 플래그십
      • 중국: 무선 양자암호통신
      • 일본: 국가 양자 기술 전략
      • 한국: 양자 협업 연구망
    • 3. KISTI의 양자통신 기술 강화 전략과 추진 방안
      • 양자통신 기술 환경 분석과 문제 해결 이슈 도출
      • 양자통신 기술 SWOT 분석
      • 양자통신 기술 및 환경 분석에 따른 추진 전략 수집
    • 4. 양자통신 기술 발전을 위한 시사점 및 로드맵
      • 양자통신 글로벌 동향 분석에 따른 전략적 시사점
      • 미래 양자통신을 위한 KISTI의 전략적 로드맵
  • 요약
    • 양자통신 기술은 초연결 사회의 보안과 데이터 전송을 혁신할 핵심기술로 부상하며, 전 세계 주요국들이 이를 국가 전략으로 채택해 연구와 인프라 구축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미국은 민관 협력을 바탕으로 네트워크의 통합과 기술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으며, 유럽연합(EU)으 양자 플래그십, EuroQCI 등의 프로젝트를 통해 유럽 전역의 양자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은 양자위성 발사와 독립적인 연구 생태계로 국제 기술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려 하고, 일본은 학계와 산업계를 연계해 표준화와 상용화에 집중하고 있다. 한국 역시 양자암호 기술과 통신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하여 안보와 산업적 활용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글로벌 동향을 분석하여 KISTI가 국내 양자통신 연구에서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전략적 방향을 제안하고잫 한다. KISTI는 양자 통신 인프라의 연구 및 실증 환경을 확장하고, 국제 표준화 활동에 참여하여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강화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산·학·연 협력을 통해 연구 생태계를 강화하며, 기술 상용화와 인재 양성을 위한 지속 가능한 재원 확보와 협력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KISTI의 이러한 접근은 국내 양자통신 기술의 성장을 촉진하고, 다가오는 글로벌 양자 네트워크 시대에 기여할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https://www.kisti.re.kr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이식, 이하 KISTI)은 국가별 양자통신 정책 동향 분석 및 시사점에 대한 KISTI 이슈브리프를 발간하였다.


KISTI는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을 운영하며 정보 초격차 시대의 중심 기술인 양자통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과학기술 혁신의 미래를 준비한다. 양자통신 기술은 양자의 중첩성과 얽힘 등의 특성을 활용해 기존 암호화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절대적인 보안을 제공하는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미국, 유럽연합(EU), 중국, 일본 등 주요국은 양자 네트워크 구축 및 상용화를 목표로 장기적 연구와 인프라 투자에 나서고 있으며, 한국 또한 이에 발맞춰 양자암호통신 기술 개발과 인프라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양자통신 기술은 기존의 보안과 데이터 전송 방식을 혁신할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미국은 민간과의 협력을 통해 양자 네트워크의 기술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으며, EU는 ‘양자 플래그십(Quantum Flagship)’과 ‘EuroQCI’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유럽 내 양자통신 인프라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독립적인 기술 생태계를 통해 양자위성 발사와 같은 혁신적인 성과를 달성하며 기술 주도권을 강화하고 있다. 일본은 산업계와 학계의 연계를 통해 표준화와 상용화를 목표로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KISTI는 이번 이슈브리프를 통해 주요국의 정책을 분석하고, 한국이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특히, KISTI는 양자통신 기술 환경 분석과 SWOT 분석을 통해 국내 연구 생태계 강화를 위한 구체적 전략을 제안하며, 양자암호기술의 상용화와 국제 표준화를 위해 협업 네트워크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KISTI는 산·학·연 협력을 기반으로 한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추진 중이다. KISTI는 양자통신 기술 발전을 위한 장기적 연구 로드맵을 수립하며, 안정적인 양자통신망 구축을 목표로 한다. 특히, 주요국과의 협력 및 국제 표준화 활동에 적극 참여하여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


KISTI 이식 원장은 “양자통신 기술이 미래 사회에서 보안과 데이터 전송의 필수적인 기반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면서 “안정적인 양자통신망 구축을 통해 미래 정보 초격차 시대를 대비하겠다.”고 밝혔다.

OPEN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담당부서대외협력실
  • 담당자박준수
  • 연락처042-869-0864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