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이 거부 되었습니다.
Permission denied please try again
Start Page
권호: 제47호
저자: 서주환, 박진서
• UN에서 2015년 채택한 SDG(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는 국가 차원에서 글로벌 사회문제에 대응하는 17개 목표와 세부 지표를 제시하고 있음. SDG 달성을 위한 학기술분야의 다양한 기여가 기대되지만, SDG와 연계된 구체적인 R&D영역과 그 역할 및 성과 기여를 정확하게 포착하는 것은 쉽지 않은 상황임.
• 특히 SDG의 목표는 글로벌 사회 문제로서 매우 포괄적으로 기술되어 있고, 개별 목표에서 제공하고 있는 세부 지표는 어느정도 측정이 가능한 메트릭을 제시하고는 있으나, 이를 R&D영역과 직접적으로 연계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임. 또한, R&D투자 측면에서 SDG와의 연계를 시도하는 연구 결과들이 존재하기는 하나, R&D투자 – R&D성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의 SDG와의 연계를 포착하는 시도는 많지 않음.
• 본 보고서에서는 국가 차원에서 R&D투자가 SDG 분야의 성과에 어느정도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그 주체는 누구고, R&D투자 측면에서 R&D 성과가 어떠한 SDG 분야와 강력하게 연계되었는지 등 R&D투자-R&D성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SDG 연계 현황과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음.
• 이를 위해, R&D투자와 성과를 모두 고려할 수 있는 NTIS 성과 데이터를 분석의 시작점으로 활용하였음. NTIS의 논문 성과 데이터는 Web of Science(WoS)와 매칭시켰고, WoS에서 제공하는 SDG 1~16까지의 목표를 할당하여, SDG 분야별 투자 특징과 이를 통해 발생하는 성과 특징을 분석하였음.
• NTIS 데이터 범위는 2015 ~ 2021년까지로 한정하였으며, 과제의 SDG 분류는 성과의 SDG 분류와 동일하게 할당함. NTIS와 WoS의 매칭은 양 DB가 공유하는 필드 (Title, Source, Year, Vol)를 기준으로 연계하였음. 연계 단계는 Title을 벡터화하여 가장 유사한 WoS Title 벡터와 매칭하고, 연도, 볼륨, 저널명 등의 필드를 기준으로 공통 필드가 모두 일치하는 논문으로 연계하여 매칭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였음. 연계된 데이터는 SDG관점에서 연도별, 부처별, 사업별, 기관별 기준으로 SDG 목표간의 특징을 분석함.
•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SDG와 관련된 R&D성과가 증가하기는 하나, 전체 R&D 투자 성과의 증가 추이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SDG 채택 시점인 2015년 이후 타분야 대비 눈에 띄는 성장을 하는 것은 아님.
• 우리나라의 SDG와 연계된 R&D투자 성과의 경우, 일부 편중이 심한 편임. 일부 편중된 SDG 목표를 보면, SDG 3(건강과 웰빙증진), SDG 11(지속가능한 도시와 주거지), SDG 7(깨끗한 에너지), SDG 13(기후변화 대응), SDG 6(깨끗한 물과 위생 보장)의 순임. R&D를 지원하는 부처별로 지원된 과제와 성과의 SDG와의 연계를 보아도, R&D지원 과제수가 가장 많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의 상당수 성과가 특정 SDG(SDG 3, SDG 11)와 연계되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