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이 거부 되었습니다.
Permission denied please try again
Start Page
권호: 제40호
저자: 권태훈, 이정우
• 본 연구에서는 2014년부터 2023년까지의 Web of Science(WoS) 논문 데이터와 BERTopic을 활용하여 국가별, 주요 연구주제별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 관련 국가간의 연구 협력 상황을 분석하였음.
• 차세대 이동통신 관련 논문수는 연평균 성장율 53.9%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 논문수 상위 12개국 중 한국은 논문수와 인용상위 10% 및 1%의 논문수에서 모두 5위를 기록하여 양적 및 질적으로 균형잡힌 성과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중국과 미국은 논문수와 인용상위 10% 및 1%의 논문수에서 모두 1위, 2위를 나란히 기록하여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나타냄.
• 논문수 상위 12개국 중 인도,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일본의 논문 중장기 성장성과 급부상성이 중위값 이상으로 분석됨.
• 논문 인용상위 10% 기준에 대한 점유율 및 엑설런스를 분석한 경과 논문 상위 12개국 중 인용상위 10% 기준에 대한 점유율 및 엑설런스가 모두 중위값 이상인 국가는 미국, 영국, 캐나다로 분석됨.
• 차세대 이동통신 연구분야 중 보안 및 프라이버시, 인공지능 및 기계학습, 우주-공중-지상 통합 통신 분야가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음.
• 차세대 이동통신 연구분야 중 논문수가 많은 주요 연구주제로는 Mobile Edge Computing, Network Slicing, MIMO Antennas, UAV Communications, Millimeter-Wave Antennas, Massive MIMO, Satellite-Terrestrial Integration, D2D Communication, NOMA Systems, URLLC and eMBB 등으로 분석됨.
• 최근 2년 사이 급부상한 논문수 100편 이상의 연구주제로는 Intelligent Reflecting Surfaces, Federated Learning, EMI Shielding, UAV Networks, Smart Education, 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s, Metasurfaces, AI-Driven Vision, Deep Learning Wireless, Intrusion Detection 등으로 분석됨.
• 논문수 상위 12개국 중 중국, 미국, 영국, 캐나다, 한국, 사우디아라비아, 인도,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일본 순으로 국제협력 논문수가 많으나, 상대적인 비중은 사우디아라비아, 영국, 프랑스, 캐나다, 독일, 미국, 이탈리아, 스페인, 한국, 일본, 중국, 인도 순으로 분석됨.
•논문수 상위 12개국의 국제협력을 1분기(2014년~2018년)와 2분기(2019년~2023년)로 구분해서 분석할 결과, 국제 협력 비율은 한국, 캐나다, 프랑스, 영국,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증가하였으며, 국제협력 중 연구주도권 비율은 한국, 중국, 인도, 스페인에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됨.
• 논문수 상위 12개국의 국제협력 비율과 국제협력 중 연구주도 비율을 중앙값을 기준으로 전체 기간(2014년~2023년), 1분기(2014년~2018년), 2분기(2019년~2023년)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모든 구분 기간에서 사우디아라비아가 국제협력 비율과 국제협력 연구주도권 비율이 중위값 이상의 상위권에 속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연구주도 비율은 모든 구분 기간에서 중국이 국제협력 비율은 전체 기간과 2분기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가 1분기에서는 독일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