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이 거부 되었습니다.
Permission denied please try again
Start Page
권호: 제39호
저자: 소대섭, 이준영, 김소영, 김한국, 박진서
• 챗GPT의 등장과 함께 글로벌 생성형 AI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다양한 법률·윤리·개인정보보호·불평등 등에 대한 이슈와 논란도 함께 제기되고 있음. 생성형 AI는 그동안 전개되어 왔던 인공지능(AI)과 연구·기술·시장에서의 경계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으나, 생성형 AI로 촉발된 글로벌 경쟁 현황을 더 면밀히 파악하기 위해 본 데이터인사이트에서는 생성형 AI에 대한 과학-기술-시장 통합 분석을 수행하였음.
• 논문분석을 통해 생성형 AI를 구성하는 5대 분야에서 얼굴인식 분야는 2020년대 들어 논문 건수가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다른 분야는 최근까지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음. 연평균 복합성장률(CAGR)을 살펴보면, 딥러닝 모델 분야는 무려 42.35%이며, 이어서 자연어 처리 10.91%, 얼굴 인식 2.53%, 음성 인식 4.12%, 초고해상도 변환 7.84%로 나타났음.
- 연구의 영향력 측면에서 한국의 상위 10% 엑셀런스는 자연어 처리, 얼굴 인식, 초고해상도 변환 분야에서만 최근 글로벌 평균 수준인 10%를 초과한 반면에 현재 생성형 AI를 주도하는 딥러닝 모델 분야에서는 논문 건수는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상위 10% 엑셀런스 측면에서는 아직 글로벌 평균 수준인 10% 기준에는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음.
• 특허분석을 통해 주요 국가의 출원 특허 수와 핵심 특허의 비중을 함께 살펴본 결과, 중국은 양적으로 압도적이며, 핵심특허 비중도 기타 국가들에 비해서는 높은 편임. 한편, 미국은 양적으로는 중국보다 적지만 핵심특허의 비중이 중국보다 2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 반면에 한국은 양적으로는 중국과 미국에 이어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나, 핵심 특허의 비율은 높지 않은 편임.
• 우리나라 생성형 AI 시장규모를 추산한 결과, 국내 생성형 AI 시장규모는 2017년 1,886억 원에서 2022년 5,253억 원으로 추정되고, 2022년 이후 연평균 36.0%씩 성장하여 2030년에는 6조 1,488억 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었음.
- 생성형 AI의 미래 시장과 관련하여 ChatGPT의 전 산업 활용·확산, AI 반도체 등 후방산업 성장 촉진 등과 같은 긍정적 요인과 함께 생성형 AI를 둘러싼 다양한 사회적 이슈에 대한 글로벌 차원의 거버넌스 부재라는 부정적 요인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