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이 거부 되었습니다.
Permission denied please try again
Start Page
권호: 제26호
저자: 서진이, 유재영
• 두발용 제품은 화장품에 포함되어, 화장품 산업의 특징을 그대로 투영하고 있다. 글로벌 화장품 산업은 전 세계적 불황에도 불구하고 수요를 지속적으로 창출해내는 미래 유망산업으로 위상을 높혀가고 있다. 특히 새로운 소비 트렌드 부상과 유통 채널의 다양한 발전 가능성으로 앞으로의 성장이 더욱 기대되는 분야이다.
• 탈모로 인한 환자수 증가 정도 뿐만 아니라, 검색어를 통한 관심도 파악 및 쇼핑 데이터 분석에 의한 검색 정도에서도 탈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 탈모 케어관련 국내 공공연구개발은 2000년 이후 대학과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약 370여 과제가 수행되었으며, 주로 보건의료, 생명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신소재 및 천연소재 개발 등에 집중되었다. 탈모관련 기능성 화장품 등의 제조 및 판매업체는 2020년 기준 약 1,088개 기업이 있으며, 이중 대기업과 중견기업은 31개(2.85%) 업체이지만 전체 매출의 약 97%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 다수의 중소기업이 시장을 점유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각국의 연구비 지원 및 투자가 확대되고 있으며, 그 결과 연구 및 기술 개발관련 논문과 특허가 대폭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 화장품 중 특히 탈모 케어 시장의 성장세는 뚜렷하다. 탈모관련 환자가 계속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병원의 처방전을 요구하는 탈모 치료제는 고객들의 심리적 장벽이 높기 때문에 병원 방문 이전에 자가치료를 시도하는 사람들이 많으며, 주로 헤어제품을 중심으로 수요가 형성되어 있다.
• 최근 탈모증 환자의 절대적인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과거에는 주요 고객층으로 여기지 않았던 30~40대와 여성의 비율이 높아졌다. 낮아진 연령층과 여성비율 증가는 탈모를 예방하고자 하는 잠재적 고객층의 확대를 야기한다.
• 탈모방지 기능을 가진 화장품 시장은 표준산업분류상 ‘화장품 제조업(C20423)’에 속하고 기능성 화장품의 일부로 볼 수 있다.
• 화장품업종의 전체 매출총액에서 대기업 및 중견기업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그 외 다수의 중소기업이 시장을 점유하고 있다. 즉, 모발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수의 업체가 상당히 많은 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며, 특히 탈모, 모발 재생, 두피 관리 샴푸가 유망하며, 프리미엄 헤어케어 제품 시장도 증가하고 있다. 소비자는 천연 식물 소재의 샴푸와 프리미엄 헤어제품을 찾고 있으며, 이에 제조기업들은 샴푸의 성분‧효능‧품질의 고급화 전략을 바탕으로 한 경쟁력이 요구되고 있다.
• 탈모완화를 위한 화장품 시장은 2020년 13,162백만 달러 규모에서 2025년 21,098백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 탈모완화 제품 관련 산업과 소재 발전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므로써, 이용자의 관심을 고려한 제품개발의 지속적인 니즈를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