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ISTI DATA INSIGHT 제21호 : 신·변종 감염병 대응 백신 개발을 위한 데이터기반 분석 연구

권혁미 54,376 2022-11-22
권호: 제21호
저자: 손은수

• 코로나19 팬데믹이 가져온 글로벌 위기상황에서 신종감염병에 대항할 미래 백신개발이 중요함에 따라 근세기 인류를 크게 위협하고 있는 신종감염병 및 병원체의 현황을 살펴보고, 75만여 건의 학술문헌 및 7만여 건의 펀딩 데이터로부터 주목해야 할 6종의 신종감염병(코로나19, 에볼라, 사스, 신종플루, 메르스, 지카)에 대응할 백신의 연구개발 현황과 글로벌 투자 동향을 분석

• 코로나19를 포함한 신종감염병 백신분야가 일반 백신에 비해 mRNA 백신 플랫폼과 같이 제조기술이 다양화, 첨단화되는 경향을 보임. 구글트렌드와 학술문헌 데이터 분석을 통해 감염병 유행과 이에 대처하는 백신 연구활동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

• 신종감염병 대응 백신의 연구개발 지형도는 감염병의 예방과 치료에서 방역에 이르기까지 백신과 관련된 첨단 과학기술의 다양한 연구주제를 포함함. ①mRNA 백신 등의 유효성과 안전성 연구, ②면역치료와 나노기술 적용 연구, ③신약재창출(Drug repurposing) 및 면역정보학(Immunoinformatic) 연구, ④코로나19 백신 접종 영향 연구, ⑤AI기반 방역기술과 공중보건 연구

• 신종감염병 대응 백신에 대한 우리나라의 글로벌 연구 수준은 연구활동력이 강한 미국, 영국, 인도, 중국 등에 비해 뒤처진 세계 16∼17위. 개별적으로는 메르스, 신종플루 등 당시 유행 감염병에 따른 후속 대응성 연구경향을 보이며, 서브유닛(재조합단백질) 백신, 면역진단 및 천연물 혹은 인공지능 활용연구, 방역기술 분야가 상대적으로 강한 편. 논문품질지수로 나타난 연구개발 경쟁력의 질적 성과도 낮게 나타남.

• 지리적 특성이 강하게 반영되는 신종감염병의 특성상 관련 백신연구에 대한 우리나라의 학술문헌데이터 분석기반 글로벌 연구수준이나 기술경쟁력이 일반백신에 비해 더 낮게 평가되는 경향이 있음을 감안하더라도 신종감염병 방역기술의 중요성을 볼 때 연구개발 경쟁력을 보다 강화할 필요성 시사

• 신종감염병 대응 백신연구의 글로벌 펀딩 분석에서는 코로나19가 2,372건으로 거의 절반을 차지, 지원금 면에서도 약 80억 달러로 70%에 달해 21세기 글로벌 최대 보건이슈인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집중 지원상황을 알 수 있음. 과제수나 지원금 모두 미국, 영국의 순으로 많게 나타나며, 관련 데이터가 없는 우리나라를 제외하고 캐나다, 독일, 일본 등 선진 과학기술국의 경제적 연구지원 현황이 파악됨.

• 글로벌 백신연구를 위한 자금공여 국가나 기관은 감염병 발생국 및 대상 감염병에 따른 특성과 차이를 보였으며,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기관들, 미국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NIAID), 미국국립의학도서관(NLM)의 지원활동이 활발함. 유럽연합 이외에도 독일, 영국, 캐나다, 일본 정부부처 및 연구기관, 코로나19와 신종플루 대응 백신연구에서는 빌앤멜린다게이츠재단(미국), 웰컴트러스트(영국) 등의 대형 자선기부 및 연구지원 재단의 지원 규모 또한 큰 것으로 나타남.

• 신종감염병 대응 백신의 기술경쟁력의 확보는 백신안보와 백신주권에 직결되는 중요한 과제임에도 우리나라는 글로벌 기술과 펀딩 분석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선진 과학기술국에 비해 크게 뒤처져 있는 바, 미국과 영국에 이어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모두를 자체보유한 세계 세 번째 국가로서의 기술 강점과 잠재력을 충분히 살려 신·변종 감염병에 조기 대응가능한 백신개발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연구개발 우선순위의 선택과 집중에 근거한 전폭적이고도 체계적인 투자와 정책 지원이 절실함을 시사구개발 경쟁력을 보다 강화할 필요성 시사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담당자박여은,윤세연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