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ISTI DATA INSIGHT 제18호 :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글로벌 패턴과 한국의 현황

권혁미 26,445 2022-04-13
권호: 제18호
저자: 이준영, 박진서

• 서구 선진국들이 2000년대 전후(미국은 2010년대 초)로 국제협력 비중이 국내협력, 단독 비중을 모두 추월한 것에 비해 한국은 국내협력과 국제협력 비중 각각 2010년대 초반, 2010년대 후반에 단독 비중을 추월한 추세를 보임.

• 한국은 협력 국가의 절대적 비중에서 미국이 가장 높으나 수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음. 일본은 상대적 협력집중도측면에서 압도적으로 높았으나 역시 꾸준히 감소 중임. 중국과는 절대적 비중이 지속 증가하나 상대적 협력집중도는 오히려 감소 추세임.

• 전체적인 국제협력 비중의 장기적 증가 추세는 전 분야에 걸쳐 비슷하게 나타나지만 물리·천문, 컴퓨터·정보과학, 생명과학, 나노기술 분야는 비중 값이 타 분야 대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국가 간 협력은 다양성의 증가(=집중도의 감소) 흐름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특정 관계의 쏠림과 같은 상반된 추세가 병존하나 한국은 미국, 일본 중심의 국제협력 관계에서 점차 협력 대상의 다양화가 진전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한편 한국은 화학공학, 재료공학, 나노기술 등의 분야에서 미국의 주요 협력국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중국에 대한 미국의 협력 비중은 최근까지도 지속 확대되었으며 이는 미·중 기술패권경쟁이라는 상반된 추세와 맞물려 전체 국제 연구협력 지형에 일정한 긴장 관계를 생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담당자박여은,윤세연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