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ISTI DATA INSIGHT 제16호 : 과학기술 미래예측: 딥러닝 기반 특허기술 장기전략 예측

권혁미 23,062 2022-03-22
권호: 제16호
저자: 이재민, 하태현, 이민국, 박강희, 임대현, 권이남, 서신원, 전홍우

•미래기술을 예측한다는 것은 매력적이면서도 쉽지 않은 일이라서 끊임없는 도전을 필요로 한다. 본 보고서에는 특허의 가치를 예측함으로써 특허에 포함된 미래기술을 예측해보려는 방법론과 분석 내용을 담고 있다.

•특허의 독점적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서, 보유자들은 특허권 유지료를 납부해야 한다. 특허는 최장 20년까지 유지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하나의 특허에 대해 최소 12,900달러 이상의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이런 이유로 20년까지 유지되는 특허는 그렇지 못한 특허보다 기술적, 비즈니스적 미래 가치가 높다고 가정할 수 있다. 우리는 이 점을 착안하여 특허의 여러 내재지표를 추출한 후, 이것을 특허권 유지 기간으로 학습시켰다. 학습에 사용한 데이터는 미국등록특허와 특허권 유지료 납부데이터이고, 학습모델로는 심층신경망네트워크를 사용하였다.

•본 보고서는 2019년 발간된 KISTI DATA INSIGHT 제10호 ‘딥러닝 기반 글로벌 특허기술 장기전략 예측’의 후속 보고서로, 최신 특허에 대한 분석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장기전략 특허에 등장한 기술을 과학맵(science map) 형태로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기업별 분석을 강화하여 장기전략특허의 분포와 주요 세부 기술들을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우리는 최근 미국등록특허(2020년 1월 ~ 2021년 3월) 437,921건에 대해 학습된 모델을 적용하여, 개별 특허가 20년까지 유지될 확률을 도출하였다. 확률이 높은 특허 40,435건(상위 9.2%)를 선별하여 기업이 어떤 기술을 20년까지 유지하려고 하는 지 예측하였다. 본 고에서는 20년 유지될 확률이 높은 이 특허들을 장기전략특허라고 정의하였다.

•우선 유지될 확률이 높은 특허 40,435 건에서 기술키워드를 추출하여 연관성 분석을 토대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기술키워드들을 8개의 클러스터로 분류하였고, 각 클러스터에 포함된 기술키워드를 분석하여 장기전략 기술군을 도출하였다.

•좀 더 미시적으로 장기전략 기술을 도출하기 위해, 본 고에서는 주요 기업의 장기전략특허들을 수집하여 개별 특허의 제목과 초록으로부터 기업의 주요 기술들을 추출하여 정리하였다. 본 고에서는 (1)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제조기업으로 TSMC, 화웨이와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2)스마트 비즈니스 경쟁기업으로 Google, Microsoft, Amazon과 Facebook, (3) 스마트 기기 제조기업으로 Apple과 Sony, (4) 의료 및 스포츠 분야 기업인 Covidien과 Nike 등 총 11개 기업을 선정하여 각 기업의 주요 기술들을 분석하였다.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담당자박여은,윤세연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