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ISTI DATA INSIGHT 제13호 : 주목해야 할 인공지능(AI) 기술 세계 100대 기업과 국가별 기술경쟁력 비교

미래기술분석센터 권혁미 24,986 2022-02-04
권호: 제13호
저자: 이창환

• 인공지능기술의 국가기술경쟁력과 글로벌 Top100 기업(연구기관)을 분석하기 위해, KISTI가 보유한 글로벌 104개국 지식특허DB인 GPASS를 활용하여 미국, 유럽, 세계 특허청(기관)에 출원된 특허를 현재 출원인(권리자)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음.

• 미국, 유럽, 세계 특허청(기관)에 출원된 인공지능기술 관련 특허를 기계학습기술, 인식기술, 이미지처리기술, 디지털처리기술 등 4개 세부분야로 나눠 분석한 결과, 인식기술 > 이미지처리기술 > 디지털처리기술 > 기계학습기술 순서로 인식기술의 특허가 가장 많이 출원됨.

• 인공지능기술의 글로벌 Top5 국가는 미국, 일본, 중국, 한국, 독일 순서로 분석됨.

• 미국은 인공지능기술 모든 세부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특히 인공지능 기본기술인 기계학습기술에서 2위 그룹보다 거의 10배 많은 특허를 출원하고 있으며, 인공지능응용기술에서도 압도적인 기술경쟁력을 가진 것으로 분석됨. 대표기업으로 IBM,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퀄컴, 애플, 아마존, 어도비, 페이스북 등이 있음.

• 일본은 조사기간내에서 미국에 이어 인공지능기술 글로벌 2위에 올라 있음. 디지털처리기술에서 중국과 한국보다 2배 이상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으며, 기계학습기술에서도 미국에 이어 2위에 올라, 여전히 기술강국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음. 대표기업으로 소니, 캐논, NEC, 후지쯔, 도시바, 파나소닉, 히타치, 도요타 등이 있음.

• 중국은 미국, 일본에 이어 인공지능기술 세계 3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기본기술보다는 인식기술과 이미지처리기술과 같은 응용기술의 특허출원이 2015년부터 급증하고 있음. 가까운 미래에 일본을 추월하는 것은 확실해 보이지만, 미국을 위협할 정도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됨. 대표기업으로 화웨이, 바이두, 텐센트, 알리바바, BOE 등이 있음.

• 한국은 중국에 이어 인공지능기술 특허출원 세계 4위에 올라 있으며, 인공지능 기본기술인 기계학습기술은 타 분야에 비해 다소 적게 출원되고 있음. 한국은 일본, 중국과 유사하게 인공지능 기본기술보다는 인공지능 응용기술인 인식기술에서의 특허출원이 많은것으로 나타남. 대표기업으로 삼성전자, LG, 전자통신연구원(ETRI) 등이 있음.

• 유럽 국가들의 인공지능기술 특허출원은 미국과 아시아권 국가들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됨. 인공지능기술 글로벌 Top100의 출원인 국적을 살펴보면, 미국, 일본, 중국 등의 국적을 가진 기업은 81개 기업인 반면에, 유럽은 독일 5개, 네덜란드 3개, 프랑스 2개, 핀란드와 아일랜드, 스웨덴이 각 1개의 기업이 포함됨. 대표기업으로 지멘스(독일), 필립스(네덜란드), 노키아(핀란드) 등이 있음.

• 인공지능기술 글로벌 Top10 기업은 IBM(1위,미국), 삼성(2위,한국), 구글(3위,미국), 마이크로소프트 (4위,미국), 인텔(5위,미국), 소니(6위,일본), 캐논(7위,일본),NEC(8위,일본), 퀄컴(9위,미국), 애플(10위,미국) 순으로 분석됨.

• 2020년 9월,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감염이 확산돼 확진자가 3천만명 이상, 사망자가 100만명을 넘어서고 있는 이때, 코로나19 퇴치에 인공지능기술이 적극 활용되어 안전하고 효과적인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가 하루빨리 개발되어 나오길 기대해 본다.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담당자박여은,윤세연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