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이 거부 되었습니다.
Permission denied please try again
Start Page
권호: 제5호
저자: 서신원, 이재민, 고병열
• 미중 무역전쟁과 일본의 수출규제 등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되며,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글로벌 패러다임의 구조적 변화가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객관적 데이터에 기반한 기술 주도권 및 경쟁우위 제품 분석과 한국의 과학기술의 기초체력에 대한 심층 분석이 요구된다.
• 본고는 기계학습 기반으로 특허문서에서 제품 키워드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분석하는 TOD(Technology Opportunity Discovery) 시스템을 통해 미국 특허문서에서 추출한 제품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국, 미국, 일본, 독일, 중국 5개국의 1등 특허제품의 변천사를 분석하였다.
• 최근 10년간의 동향을 보면 미국, 일본, 독일, 한국 4개국이 1등 제품을 독식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전반적 미국과 일본의 강세 속, 한국, 독일 등이 독자적 영역을 구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1등 제품의 변화 추이를 보면, 미국과 일본은 20% 이내의 1등 제품 교체율을 보이는 반면, 한국은 48%에 달해 매우 다이나믹한 특성을 보이고 있음이 확인된다.
• 1등 제품의 이동 현상은 국제적 경쟁이 치열한 첨단산업과 일부 사양산업의 양극단 분야에서 주로 관찰된다. 첨단 제품일수록 1등 제품을 놓치지 않으려는 기술 개발 경쟁은 더욱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 이를 근거로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기초체력을 진단하고, 특허 정보와 제품 간의 연계를 통해서 동향 분석뿐만 아니라 정책 수립 등 거시적 분석의 객관적 근거가 될 수 있는 다면적인 통계정보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