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신기술분야 연구실무인재 역량강화" 직무훈련생 모집(일정변경)(수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신기술분야 연구실무인재 역량강화" 직무훈련생 모집('20.4~)>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신기술분야 연구실무인재 역량강화" 직무훈련생을 모집하며, KISTI 과학데이터스쿨은 '과학기술 빅데이터분석가 양성과정'을 실시하여 본 과정 직무훈련생을 모집할 예정입니다. 이론교육 실무교육 R&D 체험 기업현장교육 신기술 분야 연구실무인재 역량강화 과학기술 출연(연)의 우수 인력과 인프라를 활용하여, 미취업 청년들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핵심인재로 양성 지원대상 밒 선발규모 미취업 학사학위 이상 취득자(만 34세 이하) 직무훈련 프로그램 이수 가능한 자 '20.2월 졸업예정자 포함 재학생/기 참여자 지원 불가 약 530명 신청기간 및 방법 2020.2.5(수)~3.1.(일) 홈페이지에서 출연(연)별,지역별 직무훈련 프로그램 확은 및 신청 training.net.re.kr 우편 및 방문접수 불가 향후일정 ·직무훈련생 합격자 통보(3월중) ·출연(연) 직무훈련 시작(4.1.) 문의 ·국가과학기술연구회 044-287-7079,training@nst.re.kr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ITECH 한국생산기술연구원 ET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 KICT 한국건설연구원 KRRI한국철도기술연구원 KRISS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FRI 한국식품연구원 KIGAM 한국지질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KIMS 재료연구소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ERI 한국전기연구원 KRICT 한국화학연구원 KIT 안전성평가연구소 한구원자력연구원 o 훈련기간: 2020.4월~2020.9월 약 6개월 운영 o 지원대상: 미취업 학사학위 이상 취득자(만 34세 이하) - KISTI에서는 '과학기술 빅데이터분석가 과정'을 운영하며, 대전 본원, 서울 분원에서 각각 진행 o 신청기간: 2020.2.5(수)~2020.3.10(화) o 일정: - 서류전형 발표: 3.11(수) - 면접일자: 대전본원 신청자 3.16(월), 서울분원 신청자 3.17(화) o 상세일정 및 참가신청: http://training.nst.re.kr/ o 문의: 국가과학기술연구회(044-287-7079, training@nst.re.kr) 과학데이터스쿨(02-3299-6119, kacademy@kisti.re.kr) 4차 인재양성 사업 과학기술 빅데이터 분석가 과정 2020.04 ~ 2020.09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우수한 연구인력과 인프라를 활용하여 미취업 청년들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신기술 분야 연구실무인재로의 역략강화를 위해 2020년도 4차인재양성사업 직무훈련생 모집합니다. 만 34세 이하 학사이상 미취업자 (졸업예정자)를 대상(청년고용촉진특별법 시행력 제2조)으로 하며 30~40개 직무훈련 프로그램과 각 과정별 20~30명 교육을 운영합니다. 패밀리 기업에 취업할 의사가 있는 인력을 선발해 정부출연 연구기관에서 집중 교육하고 수료 후 기업에 취업할 수 있도록 취업연계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훈련기간 중 연수수당 지급 (최대 100만원/인당)합니다. 시행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총괄부처), 국가과학기술연구회(전담기관) 사업주체: 과학기술분야 25개 정부출연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데이터스쿨 02-3299-6119 kacademy@kisti.re.kr 바이오, 기상기후, 천문 등 과학기술 빅데이터 분석가 과정 공통교육 RnD 기초소양: 4차산업혁명과 미래사회, 중소기업 이해 및 융합, 창의성 ,문제해결 등 빅데이터 분석 과정 소개: 오리엔테이션, 4차산업과 미래인재 컴퓨터개론: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초 이론, 리눅스 활용 등 취업활동: 취업박람회 및 세미나 참과, 포트폴리오 작성 및 개인발표 기본교육 기술경영: 미래예측방법론과 기술로드맵, 특허법 통계교육: 기초 통계이론 및 엑셀, 과학기술인 통계실습 분석도구 교육: Python이론 및 실습, R 이론 및 실습, DB이론 및 실습 전문교육 딥러닝 케라스 슈퍼컴퓨터 재난재해 데이터 분석 생태환경 데이터 분석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기상기후 데이터 분석 교통 데이터 분석 단백체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및 Kaggle NGS 데이터 분석 천문 데이터 분석 실습교육 개인프로젝트: Kaggle 대회 참여 그룹프로젝트: 빅데이터 분석 팀과제(멘토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ISTI과학데이터스쿨대전광역시 사회문제해결 아이디어 챌린지 공모전(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대전시 사회문제해결 아이디어 챌린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에서는 해결이 필요한 대전지역 사회문제를 발굴하고, 발굴된 사회문제를 과학기술로 해결하기 위한 「대전시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챌린지 공모전」을 진행합니다. ■ 공모 요강 1. 공모명 : 대전시 사회문제발굴 아이디어 공모 2. 공모기간 : 2020.01.20(월) ~ 02.21(금) 3. 공모주제 : 과학기술로 해결할 수 있는 시급한 대전지역 사회문제 *발굴된 아이디어는 전문가 검증을 통해 R&D 과제로 추진 예정 4. 접수방법 : 대전픽 홈페이지(www.djpick.or.kr)로 이동 후 자유양식 업로드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내용을 참고 바랍니다. 대전시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챌린지 "우리 함께 대전의 사회문제를 과학기술로 해결해 나가요" 2020.1.20(월)~2.21(금) 공모주제 대전시 현안의 사회문제를 발굴하고 과학기술을 접목한 해결방법 제안 건강·환경·문화여가·생활안·전재난재해·에너지·주거교통·가족·교육·사회통합 등 분야 응모자격 대전시 사회문제엥 관심 있는 누구나 제출방법 공모전 홈페이지(대전픽-http://djpick.or.kr/)를 통하여 접수양식에 맞추어 작성하고 제출 시상내역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상장 및 시상금(온누리상품권) 수여 최우수 : 1명(50만원) 우수 : 2명(30만원) 장려 : 3명(10만원) 평가심사에 따라 입상 작품 수 및 시상금은 변동될 수 있음 접수내용이 검증된 응모자 300명에게는 시상 후 커피쿠폰 지급예정 문의처 공모전 사무국 (주)윕스 김진하연국원 Tel. 042-862-6016, E-mail, ver95@wips.co.kr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http://djpick.or.kr/)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QR코드 대전광역시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대던역구개발특구본부 WIPS20년 상반기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 5년차 성과평가 공개 성과발표회(기초과학연구원)
<기초과학연구원 성과발표회 개최 홍보>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세계 최고 수준의 기초과학연구를 수행하고 우수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기초과학연구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오는 1월 29일과 2월 4일, 2월 19일에 기초과학 분야 3개 연구단의 성과를 발표하는 공개 성과 발표회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KISTI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상호발전과 우호협력을 위하여, 많은 참여와 관심 바랍니다. ■ 공개 성과 발표회 일정 1) 분자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연구단장: 조민행) 가) 분야: 화학 나) 일시 및 장소: 2020년 1월 29일(수) 10:30~12:40, 서울 고려대학교 R&D센터 119호 2)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연구단장: 명경재) 가) 분야: 생명과학 나) 일시 및 장소: 2020년 2월 4일(화) 10:30~12:45, 울산 UNIST 103동 113호 3) 복잡계 이론물리 연구단(연구단장: Sergej FLACH) 가) 분야: 물리 나) 일시 및 장소: 2020년 2월 19일(수) 10:30~14:20, 대전 IBS 본원 B336호 ■ 자세한 내용 붙임(안내문) 참고국민과 함께하는 과학기술 대토론회 개최(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국민과 함께하는 과학기술 대토론회 미래를 향한 혁신과 도전 과학기술 성과와 향후 과제 2019.12.19(목) 14:00~17:00 연세대 백양누리(B1) 그랜드볼룸 인사말: 최기영(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 신용현(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 성과발제 1. 과학기술정책 성과와 과제: 자율과 책임의 과학기술 혁신 생태계 조성 / 김성수(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2. 기초연구 성과와 과제: 청년과학자와 기초연구 지원으로 미래역량 확충 / 이희윤(NRF 기초연구본부장), 문일(연세대학교 연구부총장) 3. ICT R&D 성과와 과제: ICT 르네상스로 4차 산업혁명 선도 기반 구축 4. 미래 신산업 발굴·육성 성과와 과제/ 정양호(KEIT 원장), 박순찬(현대자동차 실장) 패널토론 [정부R&D 24조 시대 미래 투자전략] 김상선(KISTEP원장, 좌장)/ 이준호(전국자연과학대학장협의회장) 김병진(KISTEP원장)/김명준(ETRI원장) 손기훈(한국차세대과학기술 한림원 간사,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김범준(변화를 꿈꾸는 과학기술인 네트워크, 성균관대학교 교수) 이영완(한국과학기자협회 회장) / 류광준(과학기술정책국장) 주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출연기관장협의회, 광주과학기술원,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한민국의학한림원,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울산과학기술원, 전국대학 교 산학협력단장·연구처장 협의회, 전국자연과학대학장협의회,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보통신 정책연구원,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 한국공학한림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과학기술 단체총연합회,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연구재단,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정보화진흥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가나다 순). 국민과 함께하는 과학기술 대토론회 미래를 향한 혁신과 도전 과학기술 성과와 향후 과제 2019.12.19(목) 14:00~17:00 연세대 백양누리(B1) 그랜드볼룸 과학기술의 발전 속도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국가R&D 혁신 시스템이 중요한 상황입니다. 또한 과학계 및 일반 국민과의 소통을 통해 공감대를 보다 높일 수 있는 과학기술 혁신 정책의 이행을 가속화해야 할 때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요구에 발맞추어 그간의 국가 R&D 혁신 성과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최기영 인사말: 최기영(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 신용현(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 성과발제 1. 과학기술정책 성과와 과제: 자율과 책임의 과학기술 혁신 생태계 조성 / 김성수(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2. 기초연구 성과와 과제: 청년과학자와 기초연구 지원으로 미래역량 확충 / 이희윤(NRF 기초연구본부장), 문일(연세대학교 연구부총장) 3. ICT R&D 성과와 과제: ICT 르네상스로 4차 산업혁명 선도 기반 구축 4. 미래 신산업 발굴·육성 성과와 과제/ 정양호(KEIT 원장), 박순찬(현대자동차 실장) 패널토론 [정부R&D 24조 시대 미래 투자전략] 김상선(KISTEP원장, 좌장)/ 이준호(전국자연과학대학장협의회장) 김병진(KISTEP원장)/김명준(ETRI원장) 손기훈(한국차세대과학기술 한림원 간사,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김범준(변화를 꿈꾸는 과학기술인 네트워크, 성균관대학교 교수) 이영완(한국과학기자협회 회장) / 류광준(과학기술정책국장) 오시는 길 지도내용(연세대 백양누리 그랜드볼룸, 연세대정문, 성산대교(버스정류장(연대앞)), 지하주차장 입구(버스정류장(병원앞)), 세브란스병원, 독립문방향, 신촌(기차)역, 신촌역 2호선(홍대방향, 이대역방향) 주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출연기관장협의회, 광주과학기술원,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한민국의학한림원,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울산과학기술원, 전국대학 교 산학협력단장·연구처장 협의회, 전국자연과학대학장협의회,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보통신 정책연구원,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 한국공학한림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과학기술 단체총연합회,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연구재단,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정보화진흥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가나다 순).2019 올해의 10대 과학기술뉴스 후보에 ScienceON 을 투표해 주세요!
SCIENCE ON '2019 올해의 10대 과학기술뉴스' 후보선정 ScienceOn에 투표해주세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2019년 올 한해 과학기술계 뉴스를 총 정리하는 2019년 10대 과학기술 뉴스를 선정합니다. ScienceON이 '과학기술 이슈'부문 10대 뉴스 후보로 선정되었습니다. ScienceON은 이용자 여러분들에게 과학기술에 대한 접근성과 활용성을 증진하고 R&D 효육성을 향상시켜 과학기술 대중화를 실현하기 위해 오늘도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주최: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투표기간: 2019.12.10~12.17 참가: 과학기술인, 일반국민 투표하러 가기→